본문 바로가기

개발/형상관리

[Git]Git 시작하기/add,commit,push,pull

반응형

 

 

< vs code >

vs code의 Extension으로 GitLens 와 Auto Commit Message 를 설치했다.

이전에 설치하지 않고 있었던 익스텐션이기 때문에 간단히 어떤 프로그램인지 살펴보았다.

 

1. Git Lens 

- 코드의 특정 단락이나 라인에 커서를 올리기만 해도, 해당 코드가 언제/누구에 의해 작성된 것인지 커밋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해준다.

 

2. Auto Commit Message

- 자동으로 커밋 메시지를 생성해준다.

 

 


< Git hub >

 

Git 회원가입 및 설치 후, repository를 생성하여 가져와 주었다.

이 과정에서 간단하지만 가장 중요한 git 명령어를 함께 배웠다. 

이전 회사에서는 git이 아닌 svn을 사용했기 때문에 늘 git을 제대로 써보고 싶었는데 ,

이렇게 git을 매일 써볼 기회가 생기니 좋았다.

 

1. git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하기

 

#원하는 위치 진입 후 , git 폴더 생성
cd Desktop
mkdir github
cd github

#git 계정 연결
git config --global init.defaultBranch main 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“프로필 이름”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“이메일 주소”
git config --global --list

 

이때 global은 git의 설정 범위이다. 설정 범위는 3가지가 있는데 프로필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 할 땐 일반적으로 global을 사용한다.

 


 Git의 설정범위 


1) local(지역) : 특정 저장소 한정 설정
 
2) global (전역) : 사용자의 모든 저장소를 포함한 설정

3) system (시스템) : 해당 컴퓨터의 모든 저장소와 모든 사용자를 포함한 설정

또한 git bash 이용시 ,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폴더에서 명령어를 써야한다.

 

 

2. git 의 기본적인 명령어

git add 작업한 코드 파일을 staging area로 추가
git commit 추가한 내용을 local repository에 저장
git push commit 한 내용들이 repository로 저장
git pull 작업 공간으로 최신 버전의 repository를 내려받음

이때 주의 할 점, 터미널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 할 때 , 사용하고자 하는 폴더가 위치 한 곳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자.

제때 pull을 하지 않고 작업하면 나중에 충돌이 일어나니 습관화 할 것을 명심하기.

 

아래는 실제 사용 명령어 및 모습.

 

git add. # . 은 현재 위치를 의미함
git commit -m "feat:Study" #따옴표 안에는 커밋 메시지 작성
git push origin main

 

터미널에서의 사용 모습

주의 사항으로 git push -username 이 뜨는 경우,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는데

이때 비밀번호가 아니라 토큰을 입력해야 한다.

 


 Git hub 토큰 발급 방법 


1. github 접속
2. settings -> developer settings -> presonal access tokens -> Tokens(classic)
3. 발급 받은 토큰은 복사하여 이용. 없어지면 나중에 재발급 받아야 하므로 까먹지 않게 안전한 곳에 기록해두기 (보안 유지 중요)

 

오늘의 결심.

add commit push pull을 습관화 하자!

반응형